1.

를 간략화시킨 후 논리 회로를 그렸을 때 옳은 것은?
①
②
③
④
(정답) ②
(해설)

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전압

[V]는?
① 약 0.93
② 약 0.6
③ 약 1.47
④ 약 1.5
(정답) ③
(해설)

,
3.

의 역라플라스 변환은?
①
②
③
④
(정답) ②
(해설)
4. 불안정한 제어계의 특성 방정식은?
①
②
③
④
(정답) ②
(해설) ②의 특성 방정식에 관한 루드의 표는,

행의 요소가 전부 0이므로 루드 판별은 불안정하게 끝난다.
5. 단자 전압의 각 대칭분

,

,

가 0이 아니고 같게 되는 고장의 종류는?
① 1선 지락
② 선간 단락
③ 2선 지락
④ 3선 단락
(정답) ③
(해설)

,

,

존재 → 1선 지락 고장

,

,

존재 → 선간 단락 고장

→ 2선 지락
6. 제어계를 동작시키는 기준으로서 직접 제어계에 가해지는 신호는?
① 피드백 신호
② 동작 신호
③ 기준 입력 신호
④ 제어 편차 신호
(정답) ③
(해설)
7. 그림과 같은

과

의 병렬 회로에서

가 변화할 때의 임피던스

의 벡터 궤적은 어떻게 되는가?
① 원점을 통하는 반원
② 원점을 통하지 않는 반원
③ 원점을 지나는 직선
④ 원점을 통과하지 않는 직선
(정답) ①
(해설)
그림과 같이

의 궤적은

의 상수이고

가 변수이므로 1상한 내의 반직선이 되고, 그 역도형인

궤적은

을 지름으로 하는 4상한 내의 반원이 된다.
8. 그림의 신호 흐름 선도에서

는?
①
②
③
④
(정답) ①
(해설)

,

,

,

,
9. 궤환제어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① 구동장치
② 정확성을 높이는 장치
③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장치
④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
(정답) ④
(해설) 오차를 자동적으로 정정하게 하는 자동제어 방식을 피드백 제어라고 하며, 이 제어 회로가 폐회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폐회로 제어라고도 한다. 피드백 제어계에는 입력과 출력을 비교하는 장치가 필수적이다.
10.

[Ω],

[mH]의 코일이 있다. 이 코일에 100[V], 60[Hz]의 전압을 가할 때에 소비되는 전력[W]은?
① 100
② 120
③ 160
④ 200
(정답) ③
(해설)

[Ω]

[W]
11. 그림과 같은

인 정현파 교류의 반파 정류 파형의 실효값은?
①
②
③
④
(정답) ④
(해설) 실효값

에서 반파 정류파는

일 때

이므로
12. 제어시스템의 정상상태 오차에서 포물선 함수 입력에 의한 정상 상태 오차를

로 표현된다. 이때

를 무엇이라고 부르는가?
① 위치오차상수
② 속도오차상수
③ 가속도오차상수
④ 평면오차상수
(정답) ③
(해설) 위치 편차 상수
속도 편차 상수
가속 편차 상수
13. 2단자 임피던스

가

일 때, 이것을 번분수 전개하면

는?
①
②
③
④
(정답) ①
(해설)
14. 위상 정수

[rad/km]일 때 파장[km]은?
① 1
② 2
③ 3
④ 4
(정답) ①
(해설)

[km]
15. 힘

에 의해 움직이고 있는 질량

인 물체의 좌표를

라 할 때 가한 힘에 대한 전달 함수는?
①
②
③
④
(정답) ④
(해설)
초기값을 0으로 하고 라플라스 변환하면
16. 특성 방정식

의 완전 근궤적의 이탈점(breakaway point)은 각각 얼마인가?
①

인 점
②

인 점
③

인 점
④

인 점
(정답) ④
(해설)

의 근은
17.

인 제어계에서

,

으로 할 때 단위 임펄스 응답은?
①
②
③
④
(정답) ①
(해설)

,
18. 단위 궤환계에서 입력과 출력이 같다면

(전향 전달 함수)의 값은?
①
②
③
④
(정답) ③
(해설) 단위 궤환계의 전달 함수는

이므로 전달 함수가 1이 되려면

이어야 된다.
19.

차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상태 방정식을

로 표시할 때 상태 천이 행렬

(

행렬)에 관하여 잘못 기술된 것은?
①
②
③
④

는 시스템의 정상 상태 응답을 나타낸다.
(정답) ④
(해설)

는 선형 시스템의 과도 응답(전이행렬)을 나타낸다.
20.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압비 전달 함수

는 얼마인가? 단, 입력

는 정현파 교류 전압이며, 출력은

이다.
①
②
③
④
(정답) ①
(해설)
초기값을 0으로 하고 라플라스 변환하면,

,

[H],

[Ω],

[F]를 대입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