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신선 차폐계수
그림과 같이 Sheath 양단을 저저항회로로 접지시킨 통신 Cable의 Sheath에 의한 유도전압경감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전력선의 기유도전류 I1에 의해 생긴 자속 Φ1은 Cable 심선과 Sheath에 각각 쇄교 하여 유기기전력을 발생시킨다.
그중 Sheath에 유기된 기전력은 Sheath와 대지를 통하여 I2의 순환전류를 흐르게 하며 이 전류에 의한 자속 Φ2가 처음 유도된 Φ1과 반대 방향으로 발생되므로 결국 심선에는 이 두 자속의 상쇄로 유도전압이 경감된다.
따라서 전력선에 흐르는 전류 I1에 의해 통신선 심선에 유도된 단위 길이당 유기전압 V는
일반적으로는 이 값을 %로 나타내어 통신선의 차폐계수라고 하며 유도전압 계산에 절대 필요한 Parameter로서 이 값이 작아질수록 유기되는 전압도 작아지므로 결국 차폐효과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접지된 금속관내에 포설된 통신케이블에 대해서는 통신케이블 자체의 차폐계수에 금속관로에 의한 차폐효과를 더하게 되므로 유도전압 경감에 큰 효과가 있다. 실제 유도전압 계산에서는 계산식에 의한 정확한 값이나 실측값을 구하기가 어려워 자료에 의해 계산하고 있다.
통신선의 차폐계수는 거의 Sheath에 사용된 자성재료, 두께, 구조 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데 자성재료의 투자율 μ가 인가된 자계 H에 따라 변화하므로 차폐계수는 통신선 Sheath에 유기된 단위길이당 대지유도전압에 의해 크게 변동한다.
차폐효과는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좋아지며 자성재료의 철손이 증가해도 개선된다. 실제 차폐계수 적용에 있어서 통신선의 종류가 다양하고 계산이 쉽지 않아 아래와 같은 계수를 적용하고 있다.
구 분
|
통 신 선 종
|
차폐계수
|
K3
|
K3n
|
가공
선로
|
1. 차폐층이 없는것
|
1.0
|
1.0
|
2. 차폐층이 있는 LAP형 케이블
|
1.0
|
0.6
|
3. 차폐층이 있는 LAP형 이외의 케이블
|
0.95
|
0.15
|
지
하
선
로
|
관
로
내
케
이
블
|
1. 합성수지관에 수용된 선로
|
가공선로와 동일
|
2. 강관에 수용된 케이블
|
0.6
|
0.1
|
3. 맨홀에서 관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강철관로내에 LAP형 이외의 케이블을 수용하는 경우로 긍장거리 2Km 이상
|
0.2
|
0.03
|
4. 맨홀에서 관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관내에 차폐층이 없는 케이블 및 LAP형 케이블을 수용한 경우로 긍장거리 2Km 이상
|
0.6
|
0.1
|
직
매
|
1. 강대외장 평형케이블
|
0.6
|
0.1
|
LAP : Laminated Aluminium Polyethyl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