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오손설계 (耐汚損設計)
오손지구에 대한 구분은 표준애자 (254×146㎜)에 부착하는 염분의 부착밀도에 따라 지구별로 구분하며 지구별로 적당한 내오손설계를 시행한다.
동일한 해안지방에서도 선로의 위치나 방향에 따라 부착밀도를 달리하고 동일 애자련에서도 취부위치에 따라 그 값을 달리한다.
오손설계방법은 오손지구별로 ㎸당 소요 연면거리를 확보하는 연면거리방식과 오손지구별로 애자의 내전압치를 결정하여 계통최고 전압을 내전압치로 나누어 소요 애자수를 결정하는 오손 내전압방식이 있다.
오손지구의 구분은 표준애자의 하면에 부착한 염분량을 부착면적으로 나눈 즉 상정등가염분 부착밀도 (E.S.D.D) (㎎/㎠)에 따라서 구분한다.
각 지구별 소요애자 산출방법은 오염지구별 소요 누설거리에 공칭전압을 곱하여 산출한 총 소요 누설거리를 사용애자의 누설거리로 나누어 결정한다.
* 송전선로 애자의 절연강화로 인한 절연협조방법
외국의 경우 송전선로 애자의 절연을 개수증가 및 내무애자 등의 사용으로 강화되는 경우 변전소 인,출입 양측에서 기준절연으로 저하시켜 절연협조를 하는 방법등을 채택 활용하고 있다.
[참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154kV 이하 송전선로에 사용되고 있는 내무애자
- 상용주파건조섬락전압은 100kV (일반 현수애자 80kV)
- 주수섬락전압은 60kV (일반 현수애자 50kV)
* 연면누설거리가 일반 현수애자보다 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