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들의 이야기 / 정보공유 / 무료학습자료 |
|
|
|
|
|
우리나라 원자로 | 학습자료 |
2018-01-04 17:37:15 |
|
|
후쿠시마 원전과 대한민국 원전의 차이
대한민국 원자력발전소와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차이점은 첫째 원자로 종류이다.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소는 대부분 분리, 폐쇄형 설계구조인 가압경수로인 반면, 후쿠시마 원전은 일체형 구조인 비등경수로이다.
후쿠시마 원전의 비등경수로는 원자로 내의 냉각수 비등(Boiling)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직접 터빈 발전기를 돌리는 방식으로, 원자로 계통의 압력(약 70kg/cm²)이 낮고, 비등 시 생성되는 기포의 반응계수로 인해 가압경수로에서 원자로 출력제어에 사용하는 붕산을 사용하지 않아, 구조물의 부식 정도가 감소하며, 가압경수로에서 해야 하는 증기발생기 세관 점검·정비가 필요 없으므로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이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비등경수로의 경우, 증기발생기가 없으므로, 출력 운전 중 원자로 격납건물 외부에 위치한 터빈 발전기 계통에 대해, 방사선 피폭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2011년 후쿠시마 사고에서 보듯이 원자로 냉각재를 사용하는 1차계통과 터빈 발전기가 있는 2차계통과의 경계 차단설비인 증기발생기가 없음으로 인해, 사고 시 방사성물질 차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설계적으로 원자로 격납건물(후쿠시마 Mark-I형)의 체적이 작아 사고 발생 시 그 압력을 견디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두 번째 차이점은 대한민국 원전은 지진해일로 인해 전기가 끊기더라도 증기발생기를 이용한 원자로심의 냉각이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설령 냉각기능이 상실되어 원자로에서 다량의 수소가 발생, 원자로 건물로 나오더라도, 원자로 건물의 내부 부피가 일본 후쿠시마 원자로 노형의 5배나 되고, 전원 없이 작동되는 수소제거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원자로 건물의 수소폭발 가능성은 거의 없다.
체르노빌의 경우 핵연료의 출력 발생을 위해 흑연을 사용하는 흑연감속비등경수형 원자로로서, 사고 당시 원자로의 고온에 의해 야기된 흑연 발화에 의한 원자로 폭발이 있었으며, 원자로 격납건물이 취약하여 방사성물질을 포함한 폭발 비산물이 직접 환경으로 확산되었다.
동일한 가압경수로형인 미국 스리마일 아일랜드(TMI) 원자력발전소 사고 시에는 내부 수소폭발이 발생하였지만, 견고하고 큰 원자로 격납건물은 사고 기간 중의 압력상승 등을 견뎌 환경으로 방사성물질 방출을 소량으로 제한하였다. 대한민국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격납건물은 120센티 두께의 철근 콘크리트로 설계되었다.
원전 현황
고리 1호기 |
1978년 4월 29일 |
가압경수로 (PWR) |
58만 7천 |
고리 2호기 |
1983년 7월 25일 |
가압경수로 (PWR) |
65만 |
고리 3호기 |
1985년 9월 30일 |
가압경수로 (PWR) |
95만 |
고리 4호기 |
1986년 4월 29일 |
가압경수로 (PWR) |
95만 |
신고리 1호기 |
2011년 2월 28일 |
가압경수로 (OPR-1000) |
100만 |
신고리 2호기 |
2012년 7월 20일 |
가압경수로 (OPR-1000) |
100만 |
신고리 3호기 |
2016년 12월 20일 |
가압경수로 (APR-1400) |
140만 |
신고리 4호기[16]
(건설중)
|
2018년 9월 예정 |
가압경수로 (APR-1400) |
140만 |
신고리 5호기[17]
(건설중)
|
2021년 10월 예정 |
가압경수로 (APR-1400) |
140만 |
신고리 6호기
(건설중)
|
2022년 10월 예정 |
가압경수로 (APR-1400) |
140만 |
월성 1호기 |
1983년 4월 22일 |
가압중수로 (CANDU) |
67만 9천 |
월성 2호기 |
1997년 7월 1일 |
가압중수로 (CANDU) |
70만 |
월성 3호기 |
1998년 7월 1일 |
가압중수로 (CANDU) |
70만 |
월성 4호기 |
1999년 10월 1일 |
가압중수로 (CANDU) |
70만 |
신월성 1호기 |
2012년 7월 31일 |
가압경수로 (OPR-1000) |
100만 |
신월성 2호기[18] |
2015년 7월 24일 |
가압경수로 (OPR-1000) |
100만 |
한빛 1호기 |
1986년 8월 25일 |
가압경수로 (PWR) |
95만 |
한빛 2호기 |
1987년 6월 10일 |
가압경수로 (PWR) |
95만 |
한빛 3호기 |
1995년 3월 31일 |
가압경수로 (System 80) |
100만 |
한빛 4호기 |
1996년 1월 1일 |
가압경수로 (System 80) |
100만 |
한빛 5호기 |
2002년 5월 21일 |
가압경수로 (KSNP) |
100만 |
한빛 6호기 |
2002년 12월 24일 |
가압경수로 (KSNP) |
100만 |
한울 1호기 |
1988년 9월 10일 |
가압경수로 (PWR) |
95만 |
한울 2호기 |
1989년 9월 30일 |
가압경수로 (PWR) |
95만 |
한울 3호기 |
1998년 8월 11일 |
가압경수로 (KSNP) |
100만 |
한울 4호기 |
1999년 12월 31일 |
가압경수로 (KSNP) |
100만 |
한울 5호기 |
2004년 7월 29일 |
가압경수로 (KSNP) |
100만 |
한울 6호기 |
2005년 4월 22일 |
가압경수로 (KSNP) |
100만 |
신한울 1호기[19]
(건설중)
|
2018년 4월 예정 |
가압경수로 (APR-1400) |
140만 |
신한울 2호기
(건설중)
|
2019년 2월 예정 |
가압경수로 (APR-1400) |
140만 |
|
|
|
605 |
[기사필기]
3상 전파 맥동률 (1)
|
김대호 |
2018-01-12 |
181 |
2448 |
|
|
604 |
[기사필기]
단상 맥동률 (1)
|
김대호 |
2018-01-12 |
165 |
2258 |
|
|
603 |
[기사필기]
3상 반파 맥동률 (0)
|
김대호 |
2018-01-12 |
227 |
2404 |
|
|
|
|
|
|
|
|
|
595 |
[기사실기]
복합화력발전 (0)
|
김대호 |
2018-01-06 |
174 |
2524 |
|
|
594 |
[기사실기]
우리나라 원자로 (0)
|
김대호 |
2018-01-04 |
179 |
1843 |
|
|
593 |
[필기문제]
가압수형 원자로 (0)
|
김대호 |
2018-01-04 |
157 |
1938 |
|
|
592 |
[기사필기]
비등수형 원자료 (0)
|
김대호 |
2018-01-04 |
188 |
1876 |
|
|
|
|
589 |
[기사실기]
HVDC (0)
|
김대호교수 |
2017-12-23 |
233 |
2406 |
|
|
588 |
[기사실기]
초전도케이블 (0)
|
김대호교수 |
2017-12-23 |
217 |
2366 |
|
|
|
586 |
[기사실기]
초전도 현상 영상 (1)
|
김대호교수 |
2017-12-23 |
188 |
2335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