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뢰기는 낙뢰 또는 개폐써지등의 이상전압을 일정치 이하로 저감시켜 전기기기의 절연 파괴를 방지하는 한편 방전한후 상용주파전압(상시 계통전압)에 흐르는 속류를 신속히 차단하고 계통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진 기기이다.
※ 속류 : 방전현상이 실질적으로 끝난후 계속하여 전력계통에서 공급되어 피뢰기에 흐르 는 전류

직렬갭(Serries Gap)
피뢰기의 직렬갭이란 필요에 따라서 특성요소와 직열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저항을 직열로 겹쳐 조합한 불꽃갭을 말하며, 평상시 피뢰기 회로를 열고(OFF) 과 전압이 인가될 때 불꽃방전에 의해 그 회로를 닫으며(ON) 그 후 특성요소로 제한하여 속류 차단작용을 하는 피뢰기의 구성부분이다.
특성요소
- 성형구조
탄화규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결합재와 수분을 균등하게 혼합하여 프레스로 압축 성형시킨 것을 보통 1200℃ - 1300℃ 정도에서 10시간내지 40시간 동안 소성하여 제작한 일종의 저항치
- 역 할
비직선전압, 전류특성에 따라 방전할때는 대전류를 통과시키고 단자간 전압을 제한하여 방전후는 속류를 실질적으로 정지 또는 직열 갭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정도로 제한하는 피뢰기의 구성부분
◦ 병렬저항 : 속류 크기의 제한을 돕고 아크를 소호하는 역할을 하며 저항을 적게함
으로서 누설전류를 적게하는 역할도 한다.
피뢰기 애관표면이 오손되어 습윤상태가 되면 애관표면의 누설저항이 적어지고 누 설전류는 증가한다. 따라서 병령저항을 적게하면 이 저항으로 흐르는 전류가 증가 해서 애관표면으로 흐르는 누설전류의 영향을 적게하여 갭간의 전압분담을 균일하 게 유지한다.
◦ 병렬콘덴서
애관과 내부와의 겉보기상의 정전용량의 영향을 받을수 없게되며 전압분담을 균일하게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직렬갭을 둘러 쌓도록 콘덴서를 설치하면 직렬갭의 분포대지 정전용량의 용량을 보정하고 오손으로 인한 직렬갭의 전압분담의 흐트러짐을 방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