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도약(Sleet Jump)
착빙 또는 결빙된 눈은 바람에도 쉽게 탈락되지 않으며 또한 바람에 의한 탈락은 동시에 탈락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 착설은 미풍에 의한 야간 탈락이 가장 많고 동시 탈락하는 경우도 이 때가 가장 많다.
아침부터 낮까지 가해지는 일사량에 의한 전선의 온도상승도 탈락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지만 외부로부터의 열원에 의해 탈락하는 것은 부분적 탈락이 보통이며 전선에 부착된 빙설이 기온상승, 일사량, 풍압, 전선의 주울열 등의 원인으로 탈락하면 그 전선은 튀어 오르게 된다. 이 현상을 전선도약(sleet jump)이라 한다.
즉, 전선에 부착된 빙설이 탈락하면서 전선의 내부에너지(탄성에너지)가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빙설의 탈락 충격에 대한 반동으로 전선이 위로 튀어 오르면서 전선상호간 또는 가공지선과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되면서 단락 또는 지락고장을 일으키고 이 아크로 인하여 전선이 용단되거나 소선에 손상을 입혀 2차적인 단선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전선도약으로 인하여 전선이 무장력상태로 될 경우에는 불평균장력으로 인해 철탑이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