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보호계전기 | 학습자료 |
2016-08-10 13:05:02 |
|
|
현재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Digital Relay를 그 하드웨어의 구성면에서 분류해 보면, 크게 연산형과 계수형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이 외에도 간소구성 연산형과 Scanner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Digital Relay는, 연산형이 그 대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타 형은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의 개요를 요약해 보면, 아래 표와 같다. 그러나, 각 보호계전기 제작회사에서 실용화하여, 제작하고 있는 형태별 구성을 보면, 주파수 계전기와 같이 하나의 기능만으로 구성된 Unit형, 송전선 보호기전계 장치와 같이 여러개의 보호기능이 부합되어 구성된 System형 ,보호·제어·측정 등의 기능이 종합구성된 Combination형 으로 나눌 수 가 있다.
1. Digital Relay의 구성
대표적인 Digital Relay라고 할 수 있는 연산형 Digital Relay의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보면, 대체로 그림과 같다. 즉, 전압, 전류 등 Analog량을 샘플링해서 Digital치로 변환하는 입력부, 보호계전기의 동작을 실행하는 연산처리부, 차단기등 외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출력부, 보호계전기의 정정치를 조정하는 정정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Digital Relay의 종류
현재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Digital Relay를 그 하드웨어의 구성면에서 분류해 보면, 크게 연산형과 계수형으로 나눌 수 있는 데. 이 외에도 간소구성 연산형과 Scanner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Digital Relay는, 연산형이 그 대종을 이루고 있으며, 기타 형은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호계전기 제작회사에서 실용화하여, 제작하고 있는 형태별 구성을 보면, 주파수 계전기와 같이 하나의 기능만으로 구성된 Unit형, 송전선 보호기전계 장치와 같이 여러개의 보호기능이 부합되어 구성된 System형 ,보호·제어·측정 등의 기능이 종합구성된 Combination형 으로 나눌 수 가 있다.
[표] Digital Relay의 종류
종류
|
개요
|
회로구성
|
적용 계전기형
|
A/D변환기
|
마이크로프로세서
|
연산형
|
입력량을 주기적으로 샘플링하여, 양자화된 디지털량으로 변환 후, 프로그램에 의거 연산처리하는 것이다.
|
통상 12Bit
|
통상 16Bit
|
송전선 또는 기기보호용의 주계전기로 사용됨. (차동계전기 또는 거리계전기 등)
|
간소구성연산형
|
기본적으로는 연산형과 동일 구성이나, 회로의 간소화 또는 Bit수의 삭감등으로, 비교적 간단한 계전기를 적용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
통상 8Bit
|
통상 8Bit
|
감시용으로 사용되는 계전기(과전류 또는 부족 전압계전기 등)
|
계수형
|
입력량을 디지털량으로 변환하여, 이것을 계수처리하는 것이다.
|
-
|
통상 8Bit
|
주파수계전기
|
Scanner형
|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거 계전기 입력과 정정치를 동기시켜 절체하고, 입력치와 정정치를 아나로그량으로 비교, 판정하여 동작하는 것이다.
|
-
|
통상 8Bit
|
감시용으로 사용되는 과전류 계전기 또는 부족 전압계전기 등
|
3. 특징
- Micro Processor을 이용한 계전기로서 고감도, 고속처리가 가능하다.
- 동작속도가 빠르고 오 동작이 적으나 고가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