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분극작용 Polarization
전해시의 생성물로 인하여 극이 생기는 것을 분극현상이라 한다.이는 전극에 석출된 물질이 다시 이온이 되려는 경향 때문에 역기전력을 일으키므로 단자전압을 저하시킨다. 전지의 분극작용은 양극에서 석출하는 수소에 의한 것이 많기 때문에 復極劑로서 초산,중크롬산염,이산화망간,산화동등이 사용된다.
[용어] 설폐이션 Sulphation
연축전지는 방전상태로 오랜기간 방치하면 극판상에 황산연의 미립자가 응집하여 비교적 큰결정의 백색 피복물 즉 백색 황산연(불활성)으로 된다. 이러한 현상을 Sulphation이라 한다. 이 백색 피복물은 부도체이므로 작용물질의 면적이 감소하게 되어 전지의 용량이 감소한다. 또한 작용물질을 탈락시켜 전지의 수명이 단축된다.
이 현상은 극간이 백색으로 변하는 동시에 내부저항이 대단히 증가하므로 충전에 있어서는 전해액의 온도상승이 많고 황산의 비중상승이 낮으며 가스발생이 심하다. 발생후 대책으로는
- 가벼운 증세의 경우 과충전 실시
- 심한경우 희류산 또는 중성유산련 중에서 장시간 충전하여 제거한다.
희류산(希硫酸) = 2H2SO4
류산연(硫酸鉛)
[참고자료]
[Battery의 복원 논리에 대한 다음과 같은 PR자료요청]
지금까지 Battery 재생에 대하여 아주 많은 여러 방식이 전개되어 왔습니다.
[インチキだ]、[嘘つきだ],[まやかしだ] 등등
상기 방식들에서는 Battery가 수명을 다하는 원인을 물리적,전기적으로 강제적인 방법으로
해결하는 방식이었으며, 화학적인 근본 문제를 해결하고자 접근하지 못하였습니다.
실제적으로는 종래의 방법에서도 다소의 효과는 인정되었습니다.
그러나 열화된 Battery를 신품성능 대비 80%이상의 정상품으로 회복하기에는 도달치
못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주로 적용된 방식의 예:
PLUSE 충전 재생 방식
Battery 강화제(강화하기위한 첨가제)
관심을 갖는 대부분의 기술자들이 알고계시는 Battery(납 축전지)는 전극판에 납(2산화납)을 사용하고, 액체인 희류산(希硫酸)과 납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서 전기를 발생하게 됩니다.
화학식 :
* 희류산(希硫酸) = 2H2SO4
* 납(2산화납) = PbO2 입니다.
Battery가 열화되는 최대의 원인을 아래에 설명 합니다.
* 가혹한 사용에 따른 전극의 탈락
* 방치로 인한 과방전
* Battery액의 건조
* Battery Case 자체의 파손
* 과충전에 의한 전극판 등의 파손
이런 류형의 원인으로 파손된 Battery의 복원은 불가능하며, 이런원인으로 파손한 Battery는
대략 25% 정도가 된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Battery 수명의 최대원인의 약 75%는 희류산(希硫酸)이 전기로 변환할 때 일어나는 화학변화의
백색 류산연화(硫酸鉛化) 또는 황산화(Sulphation)에 의한 현상입니다.
이문제는 화학 변화 없이는 전기를 발생시킬수 없으며, 결정화된 류산납(硫酸鉛)이 시간이
경과됨에따라 함께 전극판에 붙게되어, 전극 전체를 덮어씌워 절연체가되고, 수명을 다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백색 류산연(硫酸鉛) 또는 황산화(Sulphation)는 전기의 원천이되는 희류산(希硫酸)의
일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