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폰등록
모바일모드
전기스쿨인강 나의 강의실 커뮤니티 고객센터 동영상강의 USB강의 쇼핑몰 유료회원제
OFF
이전광고배너 다음광고배너
> 커뮤니티 > 학습자료 > 상세보기
우리들의 이야기 / 정보공유 / 무료학습자료
> 커뮤니티 > 학습자료 > 상세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변압기 탭에 대하여  |  학습자료 2017-02-07 01:47:22
작성자  김대호 교수 조회  9964   |   추천  292

변압기 탭에 대하여

 

  1. 탭의 필요성

       변압기는 2차측(저압측 또는 부하측)전압을 규정된 정격전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실제의 변압기는 변압기 설치장소마다 수전전압(1차전압) 일정하지도 않고부하전류의 크기  역률에 따라 변압기 자체의 내부전압강하도 계속 달라지므로, 2차측 출력전압 또한 변동되게 됩니다이와 같이 변동되는 2차전압을 정격전압에 가깝게 조정할  있도록 설치해 놓은 것이 탭입니다.

    탭은 주로 변압기 1차권선에 설치되는데 이유는 변압기의 수전전압(1차전압) 정격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경우에도 철심이 과포화되는 것을 막을  있고, 1(고압)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적은 만큼   탭인출 리드등의 단면적도 작게   있어 경제적인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2)  절환에 의한 2차전압 조정의 원리

    변압기 전압과 권수와의 관계는

    1차권선의 전압  권수를 각각 V1, N1

    2차권선의 전압  권수를 각각 V2, N2  

    (V1/N1) = (V2/N2) 로서,

    1, 2 권선의 1회권당 전압(volts/turn) 항상 일정합니다.

    여기서, 1차권선의 권수(N1) 증감시킴에 따라 (, V1, N2 일정한 상황에서)  2차전압(V2) 이에 반비례하여 변한다는 것을   있는데바로 이것이 탭절환에 의한 2차전압 조정의 원리입니다.

    변압기 탭은 높은 전압 탭에서는 그에 비례하여 권선의 권수(권회수 ; number of turns) 많고낮은 전압 탭에서는 그만큼 권수가 작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2차전압(V2) 정격전압보다 높아진 경우, 1차권선의 탭을 높은 전압 탭으로 절환하면 1차권선의 권수(N1)많아지므로 1회권당 전압이 감소하게 되고이에 따라 2차전압(V2) 또한 감소하게 됩니다.   

    반대로, 2차전압(V2) 정격전압보다 낮아진 경우, 1차권선의 탭을 낮은 전압 탭으로 절환하면 1차권선의 권수(N1)작아지므로 1회권당 전압이 증가, 2차전압(V2) 증가하게 됩니다.

     

  1. 탭절환기의 종류

       이상과 같이 탭을 변환시키는 기기를  절환기(또는 탭절환장치라고 하며탭절환기에는 NVTC(No Voltage Tap Changer ; 무전압시 탭절환기 OLTC(On Load Tap Changer ; 부하시 탭절환기) 2종류가 있습니다. NVTC(주로 배전용변압기에 설치됨) 변압기가 무전압인 상태에서만 탭을 절환시킬  있는 기기로서대개 변압기 설치시 수전전압에 맞춰 탭을 절환해 줌으로써 원하는 2차전압을 얻는데 사용합니다. OLTC(주로 초고압 전력용변압기에 설치되는변압기 운전 중에도 탭절환이 가능한 기기로서운전 중인 변압기는 송배전선로에서의 전압변동(, 1 수전전압의변동 부하전류 증감에 따른 변압기 내부 전압강하의 변동등에 의해 2차전압이 변동되나, OLTC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2차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있습니다.

     

    4) 탭절환에 의해 변동되는 변압기 특성

     - 변압기 용량 : 국내 대부분의 변압기는 정격전압이하의 전압에서는 운전용량을 감소시켜 주어야 하는 저감용량(reduced capacity) 변압기이므로정격전압 이하의 탭에서는 변압기 용량이 감소합니다이에 대하여 최소전압 탭에서도 정격용량으로 운전가능한 변압기를 전용량(full capacity) 변압기라고 합니다.

     - 손실  온도상승 : 저감용량 변압기는 대부분 정격전압 탭에서 최대손실최고온도상승이 일어나며전용량 변압기는 대부분 최소전압 탭에서 최대손실최고온도상승이 일어납니다.

     - %임피이던스 : 탭절환에 의해 %임피이던스가 증감되며 값은 변압기 권선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번호 제목 등록인 등록일 추천수 조회수 비고
309 [기사실기] 수전설비 최소유격거리 (참고자료)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42 2698
308 [기사실기] 수요전력(DEMAND)의 기본이론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50 5375
307 [기사실기] 수변전설비에서 ALTS 와 ATS 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78 5915
306 [기사실기] 수변전설비의 에너지 절약설계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42 2540
305 [기사실기] 예상문제 참고자료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44 2546
304 [기사실기] 자동선로구분 개폐기(섹셔널라이저) (0) 김대호 교수 2017-02-18 364 7477
303 [기사실기] 서비보호기 원리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21 2312
302 [기사실기] 서지보호기 spd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35 2381
301 [기사실기] 서지흡수기 (0) 김대호 교수 2017-02-18 388 3722
300 [기사실기] 비율차동계전기(Percentage Differential Relay)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82 5027
299 [기사실기] 비율차동계전기 표준결선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46 2927
298 [기사실기] 비율차동계전기 변류기 전류방향 (1) 김대호 교수 2017-02-18 254 4094
297 [기사실기] 비율차동계전기 발전기 결선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64 3535
296 [기사실기] 비대칭단락전류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71 3876
295 [기사실기] 브리지정류의 원리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37 2208
294 [기사실기] 보호계전기 사용기준 (0) 김대호 교수 2017-02-18 238 2294
293 [기사실기] 유입,건식,몰드변압기의 특성비교 (0) 김대호 교수 2017-02-16 285 4913
292 [기사실기] 유입변압기의 유(油)보존방식 / 콘서베이터 (0) 김대호 교수 2017-02-16 273 5729
291 [기사실기] 콘서베이터 (0) 김대호 교수 2017-02-16 268 3231
290 [기사실기] 과제 답안 (0) 김대호 교수 2017-02-13 234 2145
추천
목록
회사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이메일주소무단 수집거부 광고문의 도서배송 관리자쪽지 찾아오시는길
사이트 이용문의 : 0505-233-3314 FAX : 02-6442-6402 이메일주소 : pekor@naver.com 대표 : 강명아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41, 1층 통신판매등록번호 : 2010-서울서초-0491
사업자등록번호 : 114-90-85522 스카이미디어(교육청 평생교육시설)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강명아

Since2004, Copyright ⓒ 2025 스카이미디어 / 전기스쿨 All Rights Reserved. Ver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