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건축물의 구조체 접지란
대표적인 자연 접지방식으로 건축물 지하부분의 큰 금속구조체를 대용 접지전극으로 이용하여 건축물내의 모든 기기를 공용접지하는 방식이다.
즉 건축구조체의 일부인 철골이나 철근에 접지계통을 연결하므로서 접지전극의 역활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 미국의 Ufer가 제창한 방식으로 Ufer Electrod로 알려져 있다.
2.구조체접지의 필요성
건축물에는 각양각색의 전기기기가 사용되고 각층에는 접지를 필요로하는 기기가 있다. 이때 독립된 접지를 각기기마다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구조체 접지의 필요성이 나타난다. 특히 빌딩상층에서 독립접지를 실시하는 경우 전자 유도효과로 인하여 독립접지의 효과를 얻기가 거의 불가능 하므로 구조체 접지가 바람직하다.
3.구조체 접지의 조건
건축물의 구조는 철골조,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서 지하부분의 대지와 접촉 면적이 어느정도 커야한다. 또한 구조체의 철골 및 철근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건축 구조체는 일종의 전기적 바구니(cage)로 구성되어야 한다.
4.법규상의 인정근거
4-1.설비기술기준 제21조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간의 전기저항치가 100Ω 미만의 경우 제3종 접지공사를 실시한 것으로 본다.
4-2.설비기술기준 제22조
지중에 매설되고 또한 대지간의 전기저항치가 3Ω 이하인 값을 유지하고 있는 금속제 수도관로는 제1종~특별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극에 사용할수 있다.
5.시공 및 운영상의 유의사항
- 각층의 설비기기와 구조체를 연결하는 연접 접지선은 굵은 연동선22mm2이상을 사용하여 가급적 짧은거리가 되도록 부설한다. 또한 접지간선을 구조체와 연결시 주철근 2개이상 개소에 접속하여 신뢰도를 향상 시킨다.
- 빌딩전체가 대지와 같은 전위변동을 할수 있도록 (등전위접지) 공사를 실시할것. 즉 빌딩내에 있는 설비의 비충전 금속부분은 모두 구조체의 금속부분에 접속한다.
- 약전회로등의 빌딩 인출점에는 그 출입구에 보안기(Surge Absorber등)를 설치하여 대지전위 상승으로 인한 영향을 적게 한다.
- 구조체접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건물이 지수벽(止洙壁)을 가지면 접지저항 저감효과가 높다. 특히 기초에 의한 저감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6.구조체접지의 이점
- 인공접지에서는 얻을수 없는 양호한 접지저항값을 얻을 수 있다.
- 별도의 접지계통이 필요없어 설비가 단순하여지며 보수점검이 쉽다.
- 고신뢰도의 접지계통 유지
- 뢰써지등에 의한 재해를 최소화 할수 있다.